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대한민국 육아휴직 급여 총정리 | 외벌이 vs 맞벌이, 6+6 부모동시 육아휴직제

by 꾸르꼼 2025. 4. 25.

대한민국의 육아휴직 급여 제도는 고용형태와 가족구성에 따라 복잡하게 나뉘어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외벌이/맞벌이 가구를 기준으로, 고용보험 가입자, 공무원, 개인사업자 등 다양한 케이스를 표 형식으로 정리하고, 6+6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한부모 특례까지 포함하여 안내합니다.

[ 목차 ]

  • 1. 외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
  • 2. 맞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 (6+6 포함)
  • 3. 한부모 육아휴직 특례
  • 4. 지원 기간 및 기타 유의사항

1. 외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

육아휴직 제도 상세 안내 보기

구분 급여 수급 가능 여부 1~3개월 4~6개월 7개월 이후 최대 지급기간
고용보험 가입자 O 100% (상한 250만원) 100% (상한 200만원) 80% (상한 160만원) 18개월
공무원 O 100% (기관 상한 기준) 100% 80% 18개월
개인사업자 X - - - -

2. 맞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 (6+6 포함)

 6+6 육아휴직 정보 확인

구분 수급자 적용 제도 1~6개월 급여 7개월 이후 비고
고용보험+고용보험 첫 번째 일반 100% (상한 250~200) 80% (상한 160)  
두 번째 6+6 우대 1~2개월 : 250만원
3개월 : 300만원
4개월 : 350만원
5개월 : 400만원
6개월 : 450만원
80% (상한 160) 생후 18개월 내 시작
공무원+공무원 각각 6+6 적용 가능 동일 동일 기관 규정 따름
고용보험+공무원 각각 6+6 가능 동일 동일 순서 무관
고용보험+개인사업자 고용보험
가입자만
일반 100%
(상한 250~200)
80% (상한 160) 개인사업자는 미수급

3. 한부모 육아휴직 특례

 한부모 육아휴직 정보 보기

구분 1~3개월 4~6개월 7개월 이후 최대 지급기간
고용보험 가입 한부모 100% (상한 300만원) 100% (상한 200만원) 80% (상한 160만원) 18개월

4. 지원 기간 및 기타 유의사항

  • 최대 지원 기간: 최대 18개월 (개월 단위 산정)
  • 급여 기준: 육아휴직 개시일 기준 통상임금
  • 6+6 제도 요건: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 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
  • 한부모 특례: 「한부모가족지원법」상 요건 충족 시 상한 상향

육아휴직 제도는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, 정확한 정보는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 또는 워크넷 육아휴직 안내 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