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한민국의 육아휴직 급여 제도는 고용형태와 가족구성에 따라 복잡하게 나뉘어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외벌이/맞벌이 가구를 기준으로, 고용보험 가입자, 공무원, 개인사업자 등 다양한 케이스를 표 형식으로 정리하고, 6+6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와 한부모 특례까지 포함하여 안내합니다.
[ 목차 ]
- 1. 외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
- 2. 맞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 (6+6 포함)
- 3. 한부모 육아휴직 특례
- 4. 지원 기간 및 기타 유의사항
1. 외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
구분 | 급여 수급 가능 여부 | 1~3개월 | 4~6개월 | 7개월 이후 | 최대 지급기간 |
---|---|---|---|---|---|
고용보험 가입자 | O | 100% (상한 250만원) | 100% (상한 200만원) | 80% (상한 160만원) | 18개월 |
공무원 | O | 100% (기관 상한 기준) | 100% | 80% | 18개월 |
개인사업자 | X | - | - | - | - |
2. 맞벌이 가구 육아휴직 급여 (6+6 포함)
구분 | 수급자 | 적용 제도 | 1~6개월 급여 | 7개월 이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
고용보험+고용보험 | 첫 번째 | 일반 | 100% (상한 250~200) | 80% (상한 160) | |
두 번째 | 6+6 우대 | 1~2개월 : 250만원 3개월 : 300만원 4개월 : 350만원 5개월 : 400만원 6개월 : 450만원 |
80% (상한 160) | 생후 18개월 내 시작 | |
공무원+공무원 | 각각 | 6+6 적용 가능 | 동일 | 동일 | 기관 규정 따름 |
고용보험+공무원 | 각각 | 6+6 가능 | 동일 | 동일 | 순서 무관 |
고용보험+개인사업자 | 고용보험 가입자만 |
일반 | 100% (상한 250~200) |
80% (상한 160) | 개인사업자는 미수급 |
3. 한부모 육아휴직 특례
구분 | 1~3개월 | 4~6개월 | 7개월 이후 | 최대 지급기간 |
---|---|---|---|---|
고용보험 가입 한부모 | 100% (상한 300만원) | 100% (상한 200만원) | 80% (상한 160만원) | 18개월 |
4. 지원 기간 및 기타 유의사항
- 최대 지원 기간: 최대 18개월 (개월 단위 산정)
- 급여 기준: 육아휴직 개시일 기준 통상임금
- 6+6 제도 요건: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 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
- 한부모 특례: 「한부모가족지원법」상 요건 충족 시 상한 상향
육아휴직 제도는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, 정확한 정보는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 또는 워크넷 육아휴직 안내 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